▲지난 수주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폭우가 내린 후 비가 그치자 케네스 한 주립 휴양지에서 바라본 로스앤젤레스 전경이 한 눈에 들어오고 있다. <사진=SNS> 수주 간 폭풍우가 휩쓴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하늘에 비가 그치면서 피해 상황이 속속 집계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브라이언 퍼거슨 주지사 비상대책실 대변인은 "피해를 집계하는 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사람이 살 수 없는 것으로 분류되는 주택과 기타 구조물의 수는 수천 채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퍼거슨 주지사는 이번 폭풍우로 인한 피해가 캘리포니아 주 58개 카운티 중 41개 카운티로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샌타바버라 카운티 관계자는 "산사태와 쓰러진 나무로 인해 피해 입은 건물을 60곳 이상 점검한 결과, 주택 4채에 빨간 표시가 붙었고 32채에 노란 표시가 붙어 광범위한 수리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도로와 관련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다"며 12개 이상의 도로가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추정했다. 캘리포니아주는 지난해 12월 말부터 약 3주 간 폭우가 쏟아져 홍수, 제방 붕괴, 산사태 등이 발생해 주 전체에서 최소 20명이 사망했다. 국립기상국은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7월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덕민 주일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덕민 주일 한국대사는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강제징용 피고 기업의 사죄-기부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18일 윤 대사는 마이니치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과 한국 대법원 판결 사이에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며, 최근 외교부가 한국 정부계 재단이 일본 기업의 판결금을 대신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2일 우리 외교부는 강제징용 해법 마련을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에 국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른바 제3자 변제 방안이다. 윤대사는 "한국은 한국에서의 역할을 다 한다. 일본도 일정의 성의 있는 호응을 해줬으면 한다고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그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일본 기업과 (강제징용) 피해자 사이에 화해가 있다면 지속 가능한 해결이 되지 않겠는가. 보완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법적인 문제가 아닌 사람과 사람의 문제로서 일본 측도 고려해야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 회담하며 악수하고 있다. 뤼터 총리는 미국, 독일과 함께 패트리엇 방공 미사일 시스템을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데 동참할 것임을 밝혔다. <사진=SNS>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네덜란드 총리에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에 참여해줄 것을 권유했다. 17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 만나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 외에도 중국이 최신 반도체 수입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해당 품목의 수출규제를 제안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해 10월 미 상무부가 중국에 대한 새로운 수출 규제를 발표했을 때부터 네덜란드의 동참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대중국 수출 금지의 목적은 중국이 컴퓨터 반도체 칩을 다량 구해서 수퍼 컴퓨터 개발과 생산에 이용하거나 더 최신의 반도체를 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회담 초에 “우리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 항해를 유지하고 솔직히 중국의 도전을 막기 위해서 함께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상무부는 중국이 반도체를 수입할 경우 대량 살상무기를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자국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14억1175만 명으로, 전년(14억1260만 명) 보다 85만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중국 인구가 대기근이 강타한 1961년 이후 61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지낸해 가을 베이징 도심서 사람들이 북적이고 있다. <사진=SNS> 중국 인구가 마오쩌둥이 펼친 대약진운동으로 대기근이 강타한 1961년 이후 61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자국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14억1175만 명으로, 전년(14억1260만 명) 보다 85만명 감소했다. 지난해 출생률은 0.677%(1000명당 6.77명)로 1949년 건국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사망률은 0.737%(1000명당 7.37명)로 197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 자연증가율은 –0.06%로 대기근 이후 첫 마이너스 증가율를 기록했다. 연령별 비중은 16∼59세 노동연령인구가 8억7556만명으로, 전체의 약 62%를 차지했고, 60세 이상 인구가 2억8004만명으로 19.8%, 65세 이상 인구가 2억978만명으로 14.9%를 차지했다. 이는 2022년이 인구 감소의 원년이 된 것으로 중국 인구가
▲지난 8일 중국 정부가 3년만에 코로나 봉쇄를 풀고 국경을 재개방하자 수많은 중국 인민들이 눈문의 재회를 하고 있다. <사진=SNS> 중국 정부가 만 3년만에 갑자기 코로나 봉쇄 정책을 중단한 가장 큰 이유가 비용 때문이라는보도가 나왔다. 미 CNN은 16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갑작스럽게 코로나 봉쇄를 중단한 것은 중국의 한 지방 당국이 코로나 봉쇄 정책을 지속하는데 들어간 막대한 비용을 언론에 공개함으로써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코로나 봉쇄정책이 해제된 지난 8일 “코로나 바이러스를 축출하기가 힘들며 사회적 비용과 방역 및 통제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주 중국 전역의 지방 당국이 새해 목표를 제시하는 연례 의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지방 의회를 거쳐 오는 3월 열리는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 총리가 올해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와 예산안 및 각종 정책 목표를 제시할 예정이다.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광둥성은 지난 13일 3년 동안 코로나 방역에 총 1468억 위안(약 27조171억 원)을 지출했다고 현지 예산 보고서에서 밝혔다. 코로나 검사, 백신 접종, 정책 집행 비용 등이 포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오미크론의 하위 변종 중 하나인 XBB.1.5의 감염 비율이 미국에서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SNS> WHO가 오미크론 하위 변종인 XBB.1.5의 감염 비율이 미국 전역에서 최근 빠르게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는 이같은 XBB.1.5 변이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확산될 수 있다고 US News가 보도했다. CDC 추정치에 따르면 XBB.1.5 변이는 미국의 지난주 신규 코로나19 감염 사례 중 43%를 차지했다. 이는 전 주 XBB.1.5의 감염 비율인 30%보다 13%p 늘어난 수치이며 해당 변이는 오미크론 하위 변종 중 확산세가 증가하고 있는 유일한 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CDC는 XBB.1.5 변이가 앞으로 몇 주 안에 미 전역을 강타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주 미국의 코로나19 감염 관련 사망자 수는 3900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CDC는 코로나19의 감염 확산세가 미국 대부분 지역에서 ‘높음’ 수준인 것으로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XBB.1.5에 대해 “유전적 특성과 초기 성장률 추정치를 고
연방타임즈 / 김문수 국장 moonsu44@naver.com ▲중국이 작년 12월 방역 조치를 완화한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약 6만명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실제 사망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58만여명에 이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SNS> 중국 정부의 방역 완화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하루 최대 2만5천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대만 중앙통신 등에 따르면 영국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업체인 에어피니티는 "중국의 첫 번째 코로나19 확산 정점이 1월 13일이라며 이날 하루 약 373만 명이 감염되고 이후 열흘간 하루 평균 2만5000명씩 사망했거나 사망할 것으로 보인다"고 추산했다. 에어피니티는 또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이 급증하기 시작한 12월부터 지금까지 58만4000명이 사망했고, 오는 4월까지 170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에어피니티는 홍콩과 일본 등이 코로나19 방역 제한을 해제했을 당시 코로나19 사례 통계를 기반으로 이 같은 추정치를 내놓았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 중국 국무원 연합방역기구는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12월 8일부터 1월 12일까지 전국 의료기관에서 숨진 코로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