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똘똘한 한 채' 선호 경향이 강해진 상황에서 강남권 규제가 풀리면서 수요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외 지역 집값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탓에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이 13일 발표한 2월 둘째 주(10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와 강남구에 적용됐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일부 해제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들썩이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2% 상승했다. 1월엔 4주 연속 보합세(0.00%)를 유지했으나 이달 첫째 주 0.04% 상승 전환한 뒤 2주째 오르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월 초부터 서울은 강남권 일부 지역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에 이미 호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양극화 심화 현상은 뚜렷해지고 있다. 2월 둘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같은 서울 안에서도 송파구(0.14%), 서초구(0.11%), 강남구(0.08%) 등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포함한 강남권에서만 상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3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이 냉각된 와중에도 강남 3구 재건축 아파트에서는 연일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전용면적 113㎡는 이달 38억8000만원(11층)에 신고가 거래됐다. 지난 6월 동일 타입이 36억9000만원(34층)에 거래되고 반년 만에 1억9000만원 오른 것이다. 아울러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117㎡와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전용 82㎡ 역시 이달 각각 55억원(6층)과 34억7500만원(8층)에 신고가 거래돼 새 주인을 찾았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강남 3구에서 분양한 단지는 8곳으로, 일반공급 1480가구 모집에 42만8416건의 청약이 접수됐다. 평균 경쟁률은 289.47대 1에 달한다. 지난해 서울 분양단지에 사용된 청약통장 60만6976건의 약 70%가 강남 3구에 몰린 것이다. 상급지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몰리고 강남 불패 심리가 작용하면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서 지난해 기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재건축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11.73%로 나타
-- 10억 달러 규모의 산업 프로젝트를 가속화할 것을 촉구 - 40개 이상의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와 700개 이상의 금융 기관이 지지하는 산업 전환 액셀러레이터(ITA)는 각국 정부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을 활용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https://3stepsolutions.s3-accelerate.amazonaws.com/assets/custom/010937/PDFs/ITA_Open_Letter.pdf ]을 발표했다. - 불확실한 수요와 인센티브 부족으로 인해 산업 탈탄소화가 지체되고 있으며, 생산자와 고객 모두 더 낮은 가격의 고탄소 제품으로 인해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에 계획된 대규모 친환경 산업 시설의 총 수는 증가했지만, 4월 이후 재정을 확보한 프로젝트는 8개에 불과하다. 바쿠, 아제르바이잔 2024년 11월 20일 /PRNewswire=연합뉴스/ -- 1,000개 이상의 기업과 금융기관을 대표하는 40개 이상의 비즈니스/금융 리더와 연합 단체는 새로운 공개 서한에서, 정부가 세계 최고 탄소 배출 산업의 탈탄소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친환경 소재, 화학물질 및 연료에 대한 수요를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올해 들어 8월까지 이뤄진 서울 아파트 매매 금액이 작년 한 해 거래총액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20~2021년의 '패닉 바잉' 수준은 아니지만 향후 신축 공급 감소, 금리 인하 등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 전 고점을 넘어선 신 고점 거래도 증가하면서 거래총액도 작년 대비 1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4년(1~8월) 매매거래량은 전국 30만1395건, 매매 거래총액은 139조3445억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매매거래량은 지난해(29만8084건) 연간 거래량을 넘어섰고, 같은 해 매매 거래총액(151조7508억원)의 92% 수준에 이르는 수치다. 올해는 8월 거래까지만 집계된 점을 감안하면 높은 수치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올해 8월까지 14만1911건 거래량을 나타내며, 지난해 연간 거래량(15만6952건)의 90%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매 거래총액은 올해 96조8442억원을 나타내며, 지난해 한 해 동안의 거래총액(93조3531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아파트 값이 강세를 나타내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다음달 주택 공급 확대를 골자로 한 부동산종합대책을 내놓는다.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세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이 투기적 수요에 대한 엄단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3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투기적인 수요가 생기기 전에 그전에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서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시켜야 된다고 말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실수요가 아니라 투기적인 수요로 집값이 급등했던 전례가 있었던 만큼 그것을 반면교사 삼아서 투기 수요가 생기기 전에 충분히 시장에 주택을 공급해서 시장을 안정화시켜야 된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에선 통상적인 정책수단인 △도심 정비 인·허가 기간 단축 △그린벨트 해제 △3기 신도시 주택 조기 착공 △빌라 등 비(非)아파트 공급 외에도 다양한 방안들을 놓고 대책을 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직접 힘을 실은 만큼, 대통령실도 나서 가용 수단들을 모두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살피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주택 공급에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전부 리스트에 올려놓고 원점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5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분양한 단지 중 직주근접성이 우수한 단지들은 우수한 분양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에서 분양한 ‘운정3 제일풍경채(A46BL)’는 인근에 파주출판단지, 문발산업단지, 파주LCD산업단지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많아 높은 관심이 이어졌다. 42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만5609명의 청약자가 몰리며 1순위 평균 371.64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했던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이었다. 같은 해 12월 분양한 충북 청주시에서 분양한 ‘청주 가경 아이파크 6단지’도 인근에 3만여 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청주일반산업단지와 산업시설 개발사업이 가시화되면서 직주근접을 선호하는 30~40대 청약자들이 몰렸다. 단지는 1순위 평균 98.61대 1의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실제로 대기업과 대규모 산업단지의 조성이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대표적인 지역으로 경기 용인시가 있다. 정부가 지정한 시스템 반도체 특화 단지가 구축될 용인은 2042년까지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곳을 구축하고, 국내외 소재·부품·장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