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3000가구 넘는 ‘메이플자이’의 집들이 시점이 다가오면서 전세 물량이 대거 쏟아지는 영향으로 서울 서초구 아파트 전셋값이 7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동대문구와 경기 광명, 인덕원 일대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도 대단지 입주가 예정돼 있다. 전세 수요자라면 ‘입주장’이 펼쳐지는 지역을 노려볼 만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초구 아파트 전셋값은 이달 둘째주(지난 12일 기준) 0.08% 떨어졌다. 지난 3월 말부터 7주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서울 전체 아파트 전셋값이 15주 연속 오름세를 보인 것과 달리 강남권 핵심 주거 지역인 서초구는 마이너스를 거듭했다. 잠원동에서 3307가구 규모의 메이플자이가 다음달 입주를 앞두고 있어서다. 부동산 플랫폼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 단지 전세 물건은 3월 초부터 시장에 풀리기 시작했다.
서울에선 동대문도 눈여겨볼 만하다. 이문·휘경뉴타운 위주로 대단지 입주가 줄을 잇고 있어서다. 올해 1월 ‘래미안라그란데’(3069가구)가 신호탄을 쏜 데 이어 다음달엔 ‘휘경자이디센시아’(1806가구)가 입주한다. 작년 11월부터 줄곧 하락세를 이어오던 동대문구 전셋값은 지난달 보합 수준을 보이더니 최근엔 소폭 오름세로 전환했다. 서울 전반적으로 매매시장 부진 속에 전세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오는 11월엔 ‘이문아이파크자이’(4321가구) 집들이도 예정돼 있어 동대문구 전세시장이 한번 출렁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 인접 지역 중 광명의 입주장이 단연 눈길을 끈다. 작년 말부터 약 1년 새 1만3741가구 넘는 신축 대단지가 줄줄이 집들이하고 있다. ‘호반써밋그랜드에비뉴’(작년 10월·1051가구), ‘트리우스광명’(작년 12월·3344가구), ‘철산자이더헤리티지’(올해 5월·3804가구), ‘광명센트럴아이파크’(올해 11월·1957가구), ‘광명자이더샵포레나’(올해 12월·3585가구)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광명의 올해 누적 전셋값 변동률은 -5.21%로, 하락 폭이 수도권에서 압도적 1위였다.
수도권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 인근에선 의왕 내손동 ‘인덕원자이SK뷰’(2633가구)의 입주장이 시작됐다. 경기 의왕과 안양 동안구 일대에 걸쳐 있는 인덕원역 인근은 교통이 편리하고 학군이 잘 갖춰져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다. 인덕원~동탄선 복선전철(2028년 개통 예정) 호재도 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