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1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한달 사이 1억 이상 고꾸라지며 9억원대로 떨어졌다.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 금액은 9억9518만원으로 집계됐다. 한달 전(11억3177만원)보다 1억3659만원이 하락했다.
평균 전세가도 6억원선이 붕괴됐다. 매매가가 10억원 이하로 내려간 건 2023년 3월 이후 1년 10개월 만이다.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탄핵 정국이 더해지면서 새해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022년 고금리 여파로 하락했다가 2023년 4월 10억원을 돌파했다. 이후 상승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6월엔 처음으로 12억원을 넘었다. 지난해 9월 기록한 역대 최고가 12억5500과 비교해선 4개월 만에 2억6032만원이 내린 것이다.
평균 매매 가격이 하락한 배경에는 실제 거래량이 급감한 가운데 저가 위주의 급매가 체결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내 매매된 아파트 중 신저가로 체결된 비율은(7일 기준) 2.85%(55건)로 전달 대비(0.97%) 약 3배 수준으로, 1년 중으로 봤을 땐 가장 그 비중이 높았다.
현재 서울은 거래 절벽 탓 매물이 상당수 적체돼 있는 상황이다. 13일 기준 아실에 따르면 새 집주인을 기다리는 아파트 물량은 매매 8만7298건으로 1년 전(7만5815건)과 대비했을 때 1만1483건이 늘어났다. 13일 기준 체결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75건으로 전년 동월(2686건) 대비 6.5% 수준에 불과하다. 다만 부동산 거래신고는 계약 후 1달 내 이뤄져야 해 미반영된 계약들을 더할 경우 반등할 여지는 존재한다.
강남권에서도 매도인의 호가는 여전히 높지만 실제 값을 내린 매물만 계약서를 쓰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94㎡는 지난해 말 40억원에 팔리면서, 한달 전인 11월 초 42억2000만원보다 2억원이 내려갔다.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 85㎡는 지난해 9월 33억9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지난달 같은 평형이 31억2000만원에 하락 거래됐다.
전세 가격 또한 급락 조짐이 보인다. 같은 날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 거래금액은 5억3704만원으로 전달 6억507만원 대비 무려 6803만원(11.2%) 하락했다. 1년 5개월 전인 2023년 8월(5억3735만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전문가는 계절적 비수기와 정국 불안, 이른 설 연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에 당분간 이 같은 거래 절벽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