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6.6℃
  • 흐림강릉 9.6℃
  • 구름많음서울 9.2℃
  • 구름조금인천 7.6℃
  • 맑음울릉도 7.3℃
  • 흐림충주 10.1℃
  • 구름많음대전 9.5℃
  • 대구 11.9℃
  • 구름많음전주 9.6℃
  • 구름조금울산 8.5℃
  • 구름많음광주 10.1℃
  • 맑음부산 10.0℃
  • 구름조금제주 11.7℃
  • 구름많음천안 8.5℃
  • 맑음고흥 10.4℃
기상청 제공

부동산

종합건설사, 5개 업체 중 1개사 ‘적자’

국내에서 활동하는 종합건설사 모두가 치솟은 원가율에 고전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3일 대한건설협회가 최근 내놓은 ‘2023년도 결산 건설업 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종합건설사들의 성장성 및 수익성 지표들이 모두 추락했다. 이번 조사는 1만9500여개 종합건설사 가운데 상장 대기업을 포함해 적정 재무제표를 제출한 1만3351개사를 분석했다.

 

지난해 국내 종합건설사 3300여곳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된 종합건설사 5개사 가운데 1개사 꼴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지난해보다 경영환경이 더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종합건설사 조차 갈수록 상황이 나뻐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선 매출액 증가율이 뚝 떨어졌다. 2021년 6.7%에서 2022년 15.3%를 기록하더니 2023년에는 4.3%에 불과했다. 당기순이익은 더 심각하다. 분석 대상 1만3351개 종합건설사 가운데 25.0%인 3338개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5개사 가운데 1개사가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이다.

 

종합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은 이미 지난해에 90%대에 올라섰다. 2017~2022년에는 87~88%대를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90.1%를 보인 것이다. 대형 건설사 한 임원은 “원가율 90%는 이제 대형사 등 특정 업체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국내에서 활동하는 종합건설사 모두가 치솟은 원가율에 고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도 2023년에 3.0%를 기록하며 이미 3% 시대에 접어든 상태다. 지난 2022년에는 영업이익률이 4.1%였다. 아울러 금융비용 부담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100)도 지난 2017년 707%에서 지난해에는 346%로 수직 낙하했다.

 

순이익 뿐 아니라 영업이익 증가율도 큰 폭의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2021년 3.8%, 2022년 1.3%에서 지난해에는 -25.3%를 기록한 것이다. 대기업은 2022년 3.3%에서 2023년 -24.7%로 추락했고, 중견기업도 이 기간 -0.9%에서 -27.2%로 악화됐다.

 

적자 종합건설사 비중은 2021년에는 19.3% 수준이었다. 2022년에는 22.5%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25%까지 상승한 것이다. 건협 관계자는 “적자 업체는 늘어난 반면 순이익 20억원 이상 건설사는 계속 줄면서 지난해에는 3.7%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종합건설사 경영상태가 더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대형사는 물론 중견 종합건설사들도 원가율 고공행진에 영업이익은 물론 순이익 등이 하락하고 있는 상태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