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기존 부동산과 주식을 팔아 주택 매입 자금을 마련한 사람들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선 주식·채권 매각을 통한 ‘영끌’이, 40∼50대에선 기존 주택을 팔아 새집으로 옮기는 ‘갈아타기’ 증가가 두드러졌다.
14일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주택 매수자(계약일 기준)가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57.8%였다. 이 비율은 2022년 27.0%에서 2023년 55.5%로 크게 늘었다. 집값 상승세와 동시에 '갈아타기'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자금조달계획서는 주택 매수자가 주택 취득 시 자금 출처와 조달 방법을 신고하는 서류다. 주택 가액이 6억원 이상이거나 투기과열지구인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용산에서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제출해야 한다. 올해 서울 아파트의 실거래가 평균이 약 11억7000만원이므로 아파트 매입자 대부분이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 이상은 '상급지로 갈아타기' 매매에 적극 뛰어들면서 65.4%는 부동산을 처분해 집 살 돈을 마련했다고 신고했다. 50대에서 이 비율은 57.0%, 30대는 51.8%로 집계됐다.
아울러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마련했다고 신고한 40∼50대 비율은 2022년 29.2%였으나, 2023년 58.6%, 올해 1∼8월 62.3%로 높아졌다. 특히 20∼30대에서 이 비율은 2022년 20.8%에서 올해 49.9%로 늘었다.
주식을 팔아 집을 샀다고 신고한 비율은 20~30대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로 보면 2022년 4%에 불과했지만, 2023년 6.3%, 올해 1∼8월 13.8%로 급증했다. 주식·채권을 팔아 집을 산 비율은 30대가 17.0%로 가장 높았다. 20대(16.4%), 40대(13.7%), 50대(11.4%) 등이었다. 동시에 20∼30대는 2022년 5.9%에서 2년 새 17.0%로 약 3배 늘었다. 40∼50대도 3.4%에서 12.9%로 뛰었다.
반면 갭투자 비율은 감소했다. 임대보증금을 승계해 주택을 구입한다고 신고한 비율은 올해 1~8월 36.8%다. 2022년 44.6%에서 지난해 35.8%로 감소한 후 소폭 상승한 수치다.
이전 집값 상승기와 달리 갭투자보다는 ‘갈아타기’가 부동산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금융기관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 비율이 증가했다. 금융기관 대출을 통해 자금을 마련했다고 신고한 비율은 지난해 44.1%에서 올해 1~8월 68.7%로 급증했다. 특히 30대는 81.8%가 대출로 자금을 조달했다고 신고했다. 40대는 73.8%, 20대는 60.5%, 50대는 56%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