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16일 국토연구원이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 이어 전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가 2021년 수준으로 회복되며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주택 구매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수도권 주택매매시장의 소비심리가 이끌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서울의 소비심리 지수는 지난달 140.6으로, 한 달 사이에 7.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서울 지수가 140을 넘어선 것이 2021년 9월 이후 처음 있는 일로, 많은 전문가들은 이는 서울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분석하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에서도 각각 8.6포인트, 6.7포인트 상승하며 주택매매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또한 지난달 전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0.9로, 전월보다 6.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21년 10월의 129.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지난해 9월 이후 10개월 만에 상승 국면으로 전환된 것이다. 국토연구원의 소비심리지수는 95 미만이면 하강, 95∼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분류되며, 현재의 지수는 분명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지난달 103.1로 2.0포인트 상승하며, 전반적인 주택 시장의 긍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주택과 토지를 합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월보다 3.8포인트 상승한 109.4로,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심리가 더욱 확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수도권 주택매매시장의 소비심리가 이끌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서울의 소비심리 지수는 지난달 140.6으로, 한 달 사이에 7.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서울 지수가 140을 넘어선 것이 2021년 9월 이후 처음 있는 일로, 많은 전문가들은 이는 서울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분석하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에서도 각각 8.6포인트, 6.7포인트 상승하며 주택매매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반면, 지방 시장의 소비심리도 상승하고 있으나 수도권에 비해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이다. 울산과 대구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각각 108.8에서 119.8, 104.0에서 112.5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경북과 광주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지역별로 차별화된 시장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광주는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가 하강 국면에 있는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