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금융지주들은 지난해 12월 계엄령 사태 발생 직후 원·달러환율이 치솟을 가능성을 염두해 시나리오별 컨딘전시 플랜을 세워뒀다.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자 4대 금융지주가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 가동을 검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500원대에 진입하거나 분기말에 맞춰 건전성 관리가 어려울 수준으로 가기 전에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는 3일 국내 정국 불안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까지 부과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면서 지난해 말 세워둔 컨티전시 플랜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 KB금융지주는 내부적으로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하는 시나리오를 마련해 올해 경영 계획을 점검했다. 신한금융지주도 지난해말 올해 환율 전망치를 수정하고 경영계획에 반영했다. 하나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 역시 강달러 환경이 지속될 경우를 염두해 대응계획을 준비했다. 당시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대내외 환경 변화 시 유동성과 건전성, 자본적정성 지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며 "현재의 위기 상황에 당분간 비상 경영체제에 준해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9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1460원대로 반등이 예상된다.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56.5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1.7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55.0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3.2원 상승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화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경제비상사태를 선포함으로써 새로운 관세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국제경제비상권한법(IEEPA)을 근거로 경제 비상사태를 선포함으로써 새로운 관세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CNN의 보도가 전해졌다. 무역 분쟁 우려가 커지자 글로벌 채권시장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한때 4.7330%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여기에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은 금리 인하 기대감을 누그러뜨렸다. 대부분의 위원은 이미 통화정책이 상당히 완화했다며 점진적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7일 경제당국 등에 따르면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야당이 윤 대통령에 이어 한 권한대행까지 탄핵을 추진하면서 외환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467.5원으로 개방해 상승세를 이어가다 단숨에 1470원까지 넘어섰다. 그러나 다시 상승하며 1475원을 돌파한 뒤 9시45분 1476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달 들어 계엄 사태에 1440원을 돌파한 원·달러 환율은 미국 FOMC의 '매파적 금리인하' 후 1450원을 돌파했고 한 권한대행의 탄핵안 발의로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1460원에 이어 1475원까지 돌파한 것이다. 이 같은 환율 급등세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이후 처음이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탄핵 사태를 거치면서 급등한 원·달러 환율이 2009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갈수록 고조되는 국내외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까지 발의하면서 정치적 혼란은 더 가중되고 있다. 한 권한대행의 탄핵까지 현실화할 경우 한국의 대외신인도 하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