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6.4℃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8℃
  • 맑음인천 13.6℃
  • 맑음울릉도 11.3℃
  • 맑음충주 17.2℃
  • 맑음대전 18.6℃
  • 맑음대구 16.9℃
  • 맑음전주 17.0℃
  • 맑음울산 12.7℃
  • 구름조금광주 18.7℃
  • 구름조금부산 15.1℃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천안 16.2℃
  • 맑음고흥 16.2℃
기상청 제공

국제

한국 자살률 OECD 1위, 공중보건 국가 비상사태! 해결책이 있다!

한국 자살률, OECD 1위
외로움의 사회적 원인
해결책: 우정 벤치 프로그램
한국 상황에 맞는 해결책

연방타임즈 = 박미쉘 기자 |

 

2025년 3월 12일, 한국의 자살률은 다시 한번 경고등을 켰습니다. 최근 뉴스 기사에서는 수원에서 일가족 4명이 숨진 채 발견된 사건, 일산에서 80대 여성이 숨진 채 발견되었으며 남편과 아들이 자살 시도한 사건, 그리고 충북 보은에서 초등학생 자녀와 함께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한 친모가 긴급 체포된 사건이 보도되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단순히 충격적인 사고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점점 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자살과 그 원인인 외로움의 경고입니다.

 

한국 자살률, OECD 1위

한국은 자살률에서 OECD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통계의 문제가 아닙니다. 2024년 자살 사망자는 14,439명에 달했으며, 하루 평균 40명이 자살을 함으로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자살률 증가와 관련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입니다. 외로움은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증가시키고, 혈압 상승, 심장병, 뇌졸중, 치매, 우울증과 같은 건강 문제를 초래합니다. 결국, 외로움은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살 예방 제도와 한계

한국은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도입해왔습니다.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백종우 교수는 “자살 예방을 위한 여러 제도가 마련되고 있지만, 실제로 이를 실행할 자원의 투입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정부의 자살 예방 정책은 있지만, 예산 부족적극적인 실행의 어려움이 현실을 더욱 복잡하게 만듭니다.

 

외로움의 사회적 원인

백 교수는 자살을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보고, 경제적인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1960-70년대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절에는 가족과 이웃 공동체가 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해 자살을 예방하는 보호막이 되었으나, 지금은 핵가족화산업화가 진행되며 사회적 고립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 한국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가족이나 친구, 사회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형성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습니다.

 

해결책: 우정 벤치 프로그램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최근 짐바브웨에서는 ‘우정 벤치(Friendship Bench)’ 프로그램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개입 프로그램으로, 훈련된 보건 요원들이 공공 공간에서 사람들에게 정신 건강 상담을 제공합니다. 짐바브웨의 Dixon Chibanda 박사는 2006년에 이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를 통해 경제적 부담 없이 정신 건강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정신 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비용이 적게 드는 방식입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한국에서도 적용 가능할 수 있습니다. 저비용으로 고효율적인 정신건강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이 프로그램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연결과 옥시토신

또한, 사회적 교류가 자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옥시토신은 사랑 호르몬으로, 사람과 사람의 접촉을 통해 분비되며, 사회적 교류가 이루어질 때 사람들은 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강아지와 포옹을 하면 옥시토신 수치가 300% 증가한다고 합니다. 이런 사회적 연결은 자살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한국 상황에 맞는 해결책

자살과 외로움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며, 사회적 고립이 자살로 이어지는 중요한 원인입니다. 한국은 저비용 고효율적인 정신건강 관리를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정 벤치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은 자살 예방을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연결과 지원을 통해 외로움을 줄이고,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이와 같은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한국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정부의 예산 부족을 해결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제 우리는 외로움과 자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