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타임즈 = 최민주 기자 |
최고 연 10% 금리를 주는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시 당시 선풍적 인기를 끌었지만 청년들의 저축 사정이 나빠지며 가입자 4명 중 1명이 적금을 해지했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가입자는 289만5546명에 달했지만 올해 5월 말 기준 중도 해약자 수는 68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중도 해약률은 23.7%였다.
청년희망적금은 문재인 정부 당시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출시됐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원 한도로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까지 연 10%의 금리 효과를 누리도록 설계됐다.
은행별로 중도 해약자 수를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이 24만 34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신한은행 15만 9850명, NH농협은행 27만 8261명 등의 순이었다. 한편 중도 해지율은 하나은행이 29.4%(가입 22만 6767명/해지 6만 6753명)로 가장 높았다.
납입 금액대별 해약률은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약률이 49.2%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이었다. 이에 반해 납입한도인 50만원을 꽉 채워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약률은 14.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 해약률이 낮았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약률은 21.2%인 반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약률 27.9%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중도 해약률이 26.9%로 여성 21.6% 보다 높았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 아래 최근 내놓은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약방지책 마련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