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착수했지만 건설업계은 먹구름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산업은행은 12일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가 확정됐다고 밝혔다. 태영건설은 서울 성동구 성수동 오피스 개발 사업과 관련된 480억원 규모의 PF 채무를 막지 못해 이번 워크아웃을 제기했다. 태영건설은 총 9조5044억원의 보증채무가 있다고 채권단에 밝혔으며, 이 가운데 2조5259억원이 부실 가능성이 큰 우발채무로 분류됐다. 업계에서는 태영건설 외에도 PF 채무로 고민하는 건설사가 많은데다, 올해도 분양 침체가 예상되는 점을 들어 ‘부실 폭탄’이 터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PF 우발채무로 인한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높은 업체도 거론되고 있다. 한국기업평가(한기평)가 유효등급을 보유한 21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9월 집계한 건설업체의 PF 우발채무는 22조8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코오롱글로벌의 경우 미착공 PF 우발채무 규모가 6121억원(지난해 8월 말 기준·한기평)로 추산되고, 부채비율도 287%(연결기준 지난해 3분기)로 높은 수준이다. 신세계건설은 부채비율이 467%가 넘고, 금호건설(242%)나 GS건설(250%)도 위험수위인 200% 이상이다. 이에 일부 건설사에서는 PF 리스크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