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3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부동산지인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공급이 1만5000여가구가 부족해 적정물량의 67%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서울의 아파트에 대한 적정 수요량은 4만8210가구로 추정되지만, 실제 공급량은 3만2623가구에 불과해 1만5497가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서울 공화국’이라고 불리는 대한민국의 서울은 인구 밀집 지역이기 때문에 주택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데 공급이 그만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급 부족 현상은 서울의 주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게 되면, 가격 상승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공급이 부족한 이유는 건설사들이 집을 짓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 고금리와 고물가의 영향으로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건설비용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건설업 조사(기업실적 부문)’ 결과에 따르면 건설업체들은 매출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이 감소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지난해 건설비용은 490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5% 증가한 50조6000억원이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올해 들어 5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등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는 이어지고 있지만 초고가 주택의 거래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4월 전국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61건으로, 작년 동기(34건) 대비 79.4% 증가했다. 직전 4개월인 지난해 9~12월(51건)과 비교해도 19.6% 늘었다. 특히 1~4월 90억원 이상에 거래된 건수는 총 11건에 달한 가운데 이 중 2건은 거래가가 100억원을 넘었다. 아울러 올해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건수도 많지만 금액대 역시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9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건수는 작년 한 해 총 14건이었지만 올해는 4월까지 벌써 11건에 달했다. 올해 1월 서울 용산구 한남동과 성동구 성수동, 강남구 삼성동 등에서 4건이 성사된 데 이어 2월에는 한남동 한남더힐과 나인원한남 등에서 모두 3건이 95억5000만 원~99억5000만 원에 계약됐다. 3월에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7차아파트가 115억 원에 거래됐다. 지난달에는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44㎡가 120억 원에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