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의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직전 주와 같은 수준을 보였다.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묶는 방안을 포함한 수요 억제책이 한동안 효과를 내긴 했으나 그간 시장을 관망하던 수요가 일부 되살아나는 조짐이어서 향후 발표될 공급대책에 관심이 쏠린다. 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첫째 주(9월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8%로 직전 주와 동일했다. 서울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은 6·27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부터 5주간 축소 흐름을 지속하다 8월 첫째 주(8월4일 기준) 한 차례 확대 전환한 뒤 이후 4주간 다시 둔화세를 이어갔다. 주간 상승폭이 가장 가팔랐던 6·27 대책 발표 직전(6월23일 기준, 0.43%)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5분의 1을 밑도는 수준까지 낮아졌다. 이번 주의 경우 대출규제의 주된 타깃이 된 강남 3구에서는 서초구와 강남구의 상승률이 각각 0.13%와 0.09%로 직전 주와 동일했고, 송파구는 0.20%에서 0.19%로 0.01%포인트 축소됐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이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난 6월 대비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8월 들어서 서울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데다 신용대출도 증가하는 등 시장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불안이 지속될 경우 추가 규제를 선제적으로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지만 규제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공급대책이 빨리 나와야 한다. 14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지난 6월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기록한 6조5000억원에 비해 증가 폭이 많이 축소됐다고 밝혔다. 7월 가계대출을 항목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전월 대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6월 6조1000억원이 증가했던 것에 비해 증가 폭이 다소 줄었다. 신용대출이 포함된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1조9000억원 감소했다. 3월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 2월 4조2000억원, 4월 5조3000억원, 6월 6조5000억원 등 3개월 연속 가파르게 상승한 바 있다. 당시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빚내서 집을 사는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이에 정부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4주 연속 상승폭 축소된 가운데 송파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였음에도 재건축 기대감 속 전주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이 24일 발표한 7월 3주(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1% 상승하며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지역별로 수도권(0.07%→0.06%)과 서울(0.19%→0.16%)은 상승폭 축소, 지방(-0.02%→-0.03%)은 하락폭 확대됐다. 5대광역시(-0.04%→-0.05%), 8개도(-0.01%→-0.02%)는 하락폭 확대, 세종(0.03%→0.00%)은 보합 전환했다. 시도별로 경기(0.02%), 울산(0.01%)은 상승, 충북(0.00%), 전북(0.00%) 등은 보합, 대구(-0.09%), 대전(-0.07%), 강원(-0.05%), 광주(-0.05%), 경북(-0.04%)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70→78개)은 증가, 보합 지역(11→3개)은 감소했다. 하락 지역은 97곳으로 전주와 같았다. 서울 아파트값에 대해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강남권을 중심으로 3주 연속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1주일 전보다 0.19% 올랐다. 지난주(0.29%)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올해 들어 집값이 급등했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마포구·성동구 등 선호 지역 오름폭이 일제히 줄었다. 강남 3구를 포함한 동남권 상승세 둔화가 두드러졌다. 강남구가 전주 0.34%에서 0.15%로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 모두 폭등세가 가라앉는 분위기다. 강동구(0.29%→0.22%)도 같은 흐름을 나타냈다. 한강 벨트 주요 지역의 오름폭도 일제히 줄었다. 용산구가 지난주 0.37%에서 0.26%로 상승 폭이 줄었고, 마포구(0.60%→0.24%)와 성동구(0.70%→0.45%) 등 둔화 추세가 이어졌다. 영등포구(0.45%→0.26%)도 일주일 만에 상승 폭이 축소돼 대출 규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에서도 집값 과열 양상을 보였던 성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