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똘똘한 한 채' 선호 경향이 강해진 상황에서 강남권 규제가 풀리면서 수요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외 지역 집값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탓에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이 13일 발표한 2월 둘째 주(10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와 강남구에 적용됐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일부 해제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들썩이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2% 상승했다. 1월엔 4주 연속 보합세(0.00%)를 유지했으나 이달 첫째 주 0.04% 상승 전환한 뒤 2주째 오르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월 초부터 서울은 강남권 일부 지역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에 이미 호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양극화 심화 현상은 뚜렷해지고 있다. 2월 둘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같은 서울 안에서도 송파구(0.14%), 서초구(0.11%), 강남구(0.08%) 등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포함한 강남권에서만 상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내년 부동산 시장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공급 부족 우려로 실수요자의 매수 심리가 살아나면서 수도권 지역 내 '똘똘한 한 채'로의 쏠림 현상이 강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3일 하나금융연구소는 최근 발간한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망'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부동산 '8·8 대책' 등 공급 확대 정책과 후속조치가 잇따라 발표되면서 인허가 물량 감소 폭은 적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높은 공사비와 지방 수요 위축, 주택 사업성 저하로 인허가에서 착공으로 전환되는 물량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주택시장은 단기적으로 수도권 아파트 등 선호도 높은 매물에 대한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착공 물량 감소와 공사비 부담 증가, 공사 기간 확대 등이 중첩되며 장기적으로 준공 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청약 시장은 양극화가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 시세 대비 고분양가로 청약 침체가 이어지나, 수도권 핵심 지역은 가격 상승 기대감이 형성돼 호조를 띌 것이란 예상이다. 공급 감소는 분양 물량 위축까지 불러올 전망이다. 올해 분양예정 물량이 2025년으로 일부 지연되더라도, 총 분양 물량은 올해 대비 감소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 분석 결과 지난달 전국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기준 ‘증여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건수는 총 222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2687건 대비 줄어든 수준이자 연내 최저치다. 범위를 넓혀보면 지난해 4월 기록한 2154건 이후 17개월 만에 최저 기록이다. 지난달 전국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증여 건수가 17개월 내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증여는 가격 하락기에 늘어난다. 최근 전국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지만 집합건물 증여가 줄어든 것은 앞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시장 내 여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올해 전국 집합건물 증여 건수는 상반기 집값 하락기 때 늘었다가 하반기 들어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을 시작하자 대폭 줄어든 바 있다. 증여 건수는 1월 3012건 기록 후 3월 3136건, 5월에는 3246건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본격화한 6월에는 2492건으로 줄었고, 8월에는 2687건으로 3000건을 밑돌았다. 지난달 역시 전월 대비 17.1%(460건) 감소하는 등 증여 감소 경향이 뚜렷했다. 앞서 올해 전국 집합건물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총선 이후 부동산 시장이 규제 완화 동력이 줄어들며 실수요자 중심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2일 NH투자증권은 ‘2024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전망_선거는 종료, 똘똘한 한 채는 계속’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다. NH투자증권은 올해 1분기 부동산 시장이 전국적으로 약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지방과 수도권 간 격차가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이어 임대차시장은 매매시장보다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매매시장은 거래량은 증가했으나 매도-매수자 간 적정 가격 눈높이가 여전히 크게 벌어졌다고 봤다. 매매시장은 서울 일부 지역은 소폭 상승하고 수도권 대부분은 보합, 지방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며 가격 다극화 시장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했다. 나아가 22대 총선 결과에 따라 세금·규제 완화 기대감이 감소하며 실수요 중심 시장이 될 것으로 봤다. 매매가격의 상·하방 요인이 상존하며 유동성, 대출, 금리, 통화 등 금융 여건이 교통망 확충, 정비사업, 공급 측면보다 더 크게 가격 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전세대출금리가 하락세로 월 차임보다 전세대출이자의 부담이 낮아지고, 거시경제 불안과 매물 적체 속에서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