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비염의 특징과 증상: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의 차이점 비염은 코 안의 점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흔히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알레르기성 비염알레르기성 비염은 주로 꽃가루, 먼지, 동물의 털 등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이다. 이러한 증상은 특정한 자극이 있을 때 발병하며, 특히 봄과 가을에 꽃가루나 미세먼지가 많은 시즌에 더 자주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면역 체계의 과민반응으로 발생하는데, 외부 자극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하는 면역 세포들이 코 점막을 자극해 염증을 일으킨다. 주요 증상: 재채기: 주로 아침이나 외출 후 나타남 콧물: 맑고 물같은 콧물이 많이 나옴 코막힘: 특히 밤에 심해짐 눈과 목의 가려움증: 가려움이 동반되기도 함 2. 비알레르기성 비염비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 반응과는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염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감기, 환경 변화, 스트레스, 약물 사용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 이 경우에는 알레르기성 비염과 달리 특정 자극에 대한 면역 반응이 없다. 주요
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비염이란 비루(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및 코막힘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동반하는 비점막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통상적으로 가려움증, 재채기, 비루 및 코막힘 등의 증상의 유무에 근거를 두고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비염은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막힘이 주된 증상으로, 보통 좌우가 교대로 막히며 증상의 정도가 다양합니다. 심할 때에는 양쪽 코가 모두 막혀 코로 숨을 쉬는 것이 힘들어지므로 환자는 입을 통해 호흡을 하게 됩니다. 콧물 역시 잘 나타나는 증상이며, 대개의 경우 맑은 콧물입니다. 그러나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에는 황록색의 화농성 비루로 변하기도 합니다. 비강의 분비물이 뒤쪽 콧구멍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후비루라고 합니다. 만성 비염은 염증으로 인해 비점막의 신경이 노출되면서 발작성 재채기를 일으키기도 하고, 후각소실이나 후각감퇴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비염 환자의 비강을 진찰해보면 비점막이 부어 오르는 증상과 함께 맑거나 농성 분비물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어린이 비염은 두통, 코골이, 수면 등 다양한 증상과 연관됩니다. 비염으로 콧물, 코막힘, 재채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