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KB금융그룹이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인 5조782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면서 사상 처음으로 순이익 5조원 시대를 열게 됐다. 대출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증권·카드·보험 등 비은행 계열사들의 순익이 늘면서 그룹 실적을 견인했다. KB금융은 5일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5조782억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KB금융은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한 만큼 상반기 약 5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시작으로 연간 총 1조7600억원을 주주환원에 투입할 계획이다. 전년 실적(4조5950억원) 대비 10.5% 증가한 것이다.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보상과 금리하락 기조 속에서도 순이자이익이 탄탄하게 뒷받침한 데다, 수수료 수익이 늘면서 그룹의 실적을 견인했다. 2023년보다 10.5% 증가한 수준으로, 국내 금융지주 중 연간 당기순이익 5조원을 돌파한 곳은 KB금융이 처음이다.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은 6829억원으로 2023년 4분기(2615억원) 대비 2.6배 늘었다. 지난해 순이자이익은 12조8267억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그룹의 순이자마진(NIM)은 2.03%로 전년(2.08%) 대비 0.05%p 하락했지만 금리인하 기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하나금융연구소(소장 정희수)는 15일 올해 안정과 절세를 추구하는 실속 투자와 해외 금융상품 선호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금융소비자는 실속있는 투자상품과 해외 금융상품 가입에 높은 의향을 보였다. 국내주식보다 해외주식을 선호했고, 가상자산 투자는 5% 미만이긴 하나 2023년보다 신규 거래할 의향이 2배 이상 늘었다. 엔데믹 후 2024년 금융자산은 1억원을 넘었고, 투자상품 비중은 25%(2022년)에서 31%까지 늘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통산 3번째 '대한민국 금융소비자보고서 2025'를 발간하고 이같이 전망했다. 보고서는 최근 3년간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변화를 추적,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64세 금융소비자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금융소비자는 평균 4.6개 은행을 복수로 거래하면서 여건이 변해도 거래를 유지할 충성 의향은 최근 3년간 지속 감소했다. 시중은행 간 경쟁력에 차이가 있냐는 질문에 '약간 있거나'(45%) '거의 없다'(42%)는 응답이 90%에 가까울 만큼 은행 간 서비스는 균질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3년간 지점 이용 변화도 두드러졌다. 금융거래 시 10명 중 9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