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최민주 기자 |
정부가 IBK기업은행, IPTV 3사(KTㆍSK브로드밴드ㆍLG유플러스)와 손잡고 K-콘텐츠에 5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사업자의 공세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 콘텐츠 사업자들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중구 그랜드센트럴에서 '디지털 미디어ㆍ콘텐츠 투자 활성화 및 금융지원 확대 방안'을 15일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국내 콘텐츠 업계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과 제작비 급증에 직면한 가운데 자금 공급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마련됐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등 3대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신규 조성할 예정이다.
미래 유망산업에 투자하는 금융위원회 주관 혁신성장 펀드와 우체국 VC 펀드 등 공공펀드의 중점 분야 중 하나로 미디어·콘텐츠 분야도 포함해 투자를 유도한다.
IPTV 3사는 3000억원 규모의 콘텐츠 공동 수급 브랜드 ‘아이픽(iPICK)을 통해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또, 정부는 SK텔레콤ㆍKTㆍLG유플러스 등 통신3사가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발전을 위해 출자한 총 440억원 규모 ‘KIF펀드’의 주요 투자 분야에 디지털 미디어ㆍ콘텐츠도 포함해 투자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다. KT 관계자는 “국가 미디어·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협력하고,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우수 미디어 스타트업에게 향후 3년간 100억원을 투자하는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신용보증기금과 함께 미디어·콘텐츠 기업에 약 700억원 상당의 대출 및 보증을 제공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한ㆍUAE 정상회담의 후속조치로 UAE 국부펀드에 국내 OTT 등에 대한 투자를 제안하는 등 해외 자본 유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미디어ㆍ콘텐츠 업계는 글로벌 진출과 IP 확보 등을 위해 자본의 원활한 공급이 중요하다”며 “산업 전반에 자금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