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울릉도 20.6℃
  • 구름많음충주 26.1℃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조금고흥 29.5℃
기상청 제공

사용 어려운 키오스크…"'디지털 약자' 줄여나갈 정책 마련 시급"

"성공적 디지털 전환 위해서는 사용자 중심 접근 필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하영제 국민의힘 의원은 "사회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확산하는 가운데 불평등과 차별을 느끼는 소외계층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21일 강조했다.

 


하 의원은 이날 '디지털 소비자 문제 이대로 둘건가?'를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 의원은 "생산·생활·문화 등 전 영역을 아우르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가 열렸으나, 새로운 기술중심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소외계층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빅데이터·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이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편리한 신기술이 증가하고 있지만 키오스크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디지털 약자도 공존한다. 노인, 장애인 등 소위 디지털 취약계층은 음식점 주문·티켓 구매 등 실생활과 직결되는 영역에서 소외당하는 실정이다.

하 의원실이 확보한 통계청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75.4%에 그친다.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정부·기업 분야에 비해 사용자 분야의 발전이 아직 미흡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는 까닭이다.

하 의원은 디지털소비자연구원과 개최한 이번 세미나를 통해 디지털 약자 문제·온라인 플랫폼 시장·데이터 결정권·개인정보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발제는 문정숙 디지털소비자연구원장이 맡았다 .

그러면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자·개발자 중심의 접근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미래 사회의 변화에 한층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