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로비, 케냐 2025년 3월 18일 /PRNewswire=연합뉴스/ -- 화웨이(Huawei)와 유네스코, 정부 파트너들이 케냐 디지스쿨(DigiSchool) 연결 프로젝트 2단계[https://www.huawei.com/en/tech4all/stories/digischool-kenya-transforming-education-connectivity] 사업을 완료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특수 교육 대상 아동 학교 6곳을 포함한 총 21개 학교에 인터넷 연결을 지원했다. 케냐 정부의 디지털 슈퍼하이웨이 어젠다와 모든 케냐 학교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겠다는 목표에 따라 디지스쿨 프로젝트는 케냐 교육부, 정보통신디지털경제부, 케냐전력공사(KPLC), 유네스코, 화웨이 TECH4ALL[https://www.huawei.com/en/tech4all] 간 협력 사업으로 추진된다. 지난 14일 마차코스 청각장애 초등학교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는 존 타누이(John Tanui) 케냐 정보통신디지털경제부 차관이 참석했다. 이 학교는 디지스쿨 연결 프로젝트 2단계 사업을 통해 케냐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에 연결된 청각장애 아동 학교 중 하나다. 존 타누이 정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가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기업 진입을 꿈꾸는 청년들을 돕기 위해 '사회적경제 문화예술 청년 창업지원 프로젝트' 참여자를 이달 24일까지 모집한다. 서초구는 서초 음악문화지구 등 지역 내 풍부한 문화예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청년들이 사회적경제 기업을 창업하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도록 지난 2018년부터 사업비, 역량강화 등 다방면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번 모집에서는 17개 내외의 팀을 선정해 사회적경제 기업의 초기 창업을 위한 사업비로 팀당 최대 2,500만원, 사업 안정화를 위한 임차료로 팀당 최대 810만원 등 총 4억원 규모의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모집 대상은 서초구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중 문화·예술 관련 사회적경제 기업의 사업 아이템을 가진 예비·초기 창업 팀으로, 사업비 지원과 임차료 지원 2개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해 지원하면 된다. 모집 대상의 '문화·예술' 관련 사업의 범위에는 ▲공정무역 ▲자원순환 ▲소셜테크(사회적가치 창출에 최신 기술을 접목하는 사업) 등 최근 관심이 높은 사회적경제 분야를 포함시켜, 더 많은 창업 기회 제공과 사회적가치 실현, 사회 공헌으로 이어지도록 한 것이
하이데라바드, 인도 2025년 1월 3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재생에너지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엔피니티 글로벌(Enfinity Global)이 인도 라자스탄, 우타르프라데시, 마하라시트라, 카르나타카 주에서 2GW 유틸리티 규모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연결성(connectivity)을 확보했다. 이 전략적 개발은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인도의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려는 회사의 노력에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 결합 용량이 2GW인 이 포트폴리오는 약 470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해 연간 4900만 톤의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줄여줄 전망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된 전력은 정부 유틸리티뿐만 아니라 상업 및 산업(C&I) 고객에게도 공급된다. 엔피니티 글로벌의 카를로스 도메네크(Carlos Domenech) 최고경영자는 "이 이정표는 2030년까지 500GW의 비화석 연료 에너지 용량을 배치하겠다는 인도의 야심 찬 목표에 기여함으로써 인도의 재생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우리의 의지를 확인시켜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의 세계적 위상으로 우리는 자본과 운영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가 청년들의 해외봉사 참여 문턱을 낮추고 일 경험 기회를 강화한 '청년 맞춤형 프로젝트 봉사단'을 오는 25일 최초 파견한다. 코이카는 지난해 청년들의 해외봉사 참여 활성화를 골자로 하는 '코이카 청년이니셔티브'를 발족하고, 기존 장기 봉사단에 프로젝트 봉사단을 추가한 이원화 형태로 코이카 일반 봉사단 프로그램을 개편했다. 기존 장기 봉사단은 전문적인 기술과 자격증을 기본 요건으로 선발해 1년 이상 파견했다면, '2024년 개편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은 요건을 대폭 완화하고 활동 기간도 최대 5개월로 단축해 학업 중인 대학생도 장기 휴학 없이 참여할 수 있게 했다. 실제 이번 1기 파견 인원 중 95% 이상은 청년(34세 이하)으로 선발됐다. 개인이 아닌 '팀 단위'로 주어진 과업을 협력해 수행하고 성과를 평가받는다는 점도 개편된 프로젝트 봉사단의 주된 특징 중 하나다. 파견 국가 지역 또는 기관의 개발 문제를 해결하는 구체적인 업무를 부여해 청년들이 봉사에 참여하면서 사회 진출에 필요한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곧 파견을 앞두고 있는 프로젝트 봉사단 1기는 총 91명으로 그중 87명이 청년이다. 이들은 25일부터
-- '5G-A×AI 개발 프로그램' 일환으로 추진 이스탄불 2024년 11월 9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세계TD-LTE통신사업자연합회(GTI)가 '글로벌 MBB 포럼 2024(Global MBB Forum 2024)'에서 '5G-A×AI 개발 프로그램' 일환으로 5G-A와 인공지능(AI) 간 양방향 역량 강화 속도를 높이기 위한 '지능형 RAN, 유비쿼터스 AI 프로젝트'의 글로벌 회원 모집을 시작했다. 포럼에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 텔레포니카(Telef?nica), AIS, HKT, 자인(Zain), 레쥬 로봇(Leju Robot), 화웨이(Huawei) 등 세계 유수의 통신사 및 업계 파트너가 참석해 5G-A와 AI의 융합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은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응용 및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5G-A×AI 개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구축된 GTI의 '지능형 RAN, 유비쿼터스 AI 프로젝트'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5G-A 네트워크와 AI를 결합해 지능형 유지관리(O&M), 네트워크 최
-- 회원사 CATL, 2개 시범 프로젝트 주도 닝더, 중국 2024년 11월 8일 /PRNewswire=연합뉴스/ -- 글로벌 배터리 연합(Global Battery Alliance·GBA)이 8일 상하이와 닝더에서 개최된 연차 총회에서 2024 배터리 여권(Battery Passport) 시범사업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세계 유수의 배터리 셀 제조업체가 주도하는 10개 컨소시엄은 조화로운 '배터리 여권(battery passport)' 플랫폼 구축을 위한 최대 규모의 사전 경쟁 노력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CATL은 GBA 회원사로서 Shenxing과 셀투팩(CTP) 배터리를 위한 2개 시범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이 이니셔티브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투명하고 지속가능한 배터리 가치 사슬을 향한 새로운 이정표를 달성했다. GBA는 2023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 기간 중 세계 최초로 '배터리 여권'에 대한 개념 증명(신제품에 대한 기능과 성능 검증 결과)을 발표했다. 이어 2023년 성공적인 출시를 기반으로 7개 디지털 솔루션 제공업체와 협력해 리튬, 흑연(인조), 알루미늄, 코발트, 구리, 인산철, 니켈 등 7가지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금융투자협회는 국내 6개 부동산신탁사 대표이사로 구성된 '한국 부동산신탁업계 뉴포트폴리오코리아(NPK) 대표단'과 함께 30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일본 도쿄를 방문한다고 밝혔다. 금투협과 대표단은 미쓰이스미토모트러스트(SMT) 자산운용, 옥타브재팬자산운용, 부동산 개발 특화 로펌인 TMI 등을 찾아 일본 부동산 시장의 투자 트렌드, 부동산개발사(디벨로퍼) 규제 현황 등을 듣는다. 이번 방문은 일본의 도시 재생·재개발 및 대형 부동산 복합개발 프로젝트 시찰, J-리츠(REITS) 시장 현황 파악 및 선진 자산관리 사례 벤치마킹을 위해 일본 내 주요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일정으로 구성된다. 또 SMT 부동산기초연구소, 일본 부동산유동화협회 등을 방문해서 부동산신탁 투자에서 자산유동화방식으로서 리츠 활용 방안, 시니어하우징 개발 현황 및 성공 사례, 도시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사항 등도 파악할 예정이다. 특히, 일본의 대표적 디벨로퍼인 모리빌딩과 미쓰이부동산을 차례로 방문한다. 도쿄 미드타운 개발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롯본기힐즈, 아자부다이힐즈 등 힐즈 시리즈 개발 현장을 직접 살펴보며 지속가능한 도시 복합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