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아이파크삼성’의 전용면적 195㎡는 지난 14일 81억원(12층)에 손바뀜하며 같은 평수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최근 토지거래허가제도(토허제)가 해제된 가운데 강남구 삼성동에서도 최고가 거래가 발생했다. 특히 이번 규제 완화로 혜택을 본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네 지역 중에서도 아파트 수가 가장 적은 삼성동은 큰 평수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급감했던 거래수가 회복하며 눌려 있던 가격이 ‘키 맞추기’를 해나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에 따르면 이 아파트는 최근 전용면적 167㎡도 63억원에 거래됐다. 같은 평수의 직전거래는 지난 2023년 8월 55억5000만원이다. 단 해당 거래는 아직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다. 이 매매 계약의 등록이 이뤄지면, 1년 6개월만에 8억원이 상승한 신고가가 된다. 아이파크삼성은 2004년 3월 입주한 강남 삼성동의 대표적인 고급 아파트로, 방송인 전현무가 살기로도 알려져 있다. 특히 건폐율이 9%로 국내에서 낮아 넓은 동간 간격과 풍부한 조경 및 녹지가 조성돼있다. 3개 동에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지난달 서울의 5분위(아파트를 가격 순으로 5등분 했을 때 상위 20%에 해당하는 주택)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7억3666만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의 1분위(하위20%) 아파트 평균 가격은 1억1620만원으로 23.6배 차이가 났다. 이 같은 격차는 사상 최대다. 7일 ‘KB부동산 월간 주택 가격 동향’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 침체와 무관하게 서울 고가 아파트 가격은 최고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 상위 20%(5분위) 고가 아파트와 전국 하위 20%(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 차이가 23.6배로 벌어졌다. 지방의 저가 아파트 24채의 가격과 서울의 고가 아파트 1채 값이 맞먹는단 뜻이다. 전문가들은 주택시장의 초양극화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득 격차마저 크게 벌어지면서 ‘국내 아파트의 계급화’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는 값이 싼 아파트는 점차 가격이 하락하는 데 반해, 서울의 고가 아파트는 소폭의 오르내림이 있더라도 최고가 경신이 꾸준히 이뤄지기 때문이다. 실제 전국 1분위 아파트는 28개월 연속 값이 하락한 반면, 서울 5분위 아파트는 12개월 연속 집값이 올랐다. 같은 서울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지난해 급격히 위축됐던 거래 시장이 올해 1분기 소폭 회복하면서 서울 곳곳에서 4월 최고가 경신 소식이 이어졌다. 한동안 약세를 보인 강북지역에서도 4월 최고가 경신 단지가 나오며 눈길을 끈다. 7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자료를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4월 매매 중 최고가 경신 거래가 3월과 비교해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성북구로 나타났다. 다음 중랑구, 영등포구 순으로 3월과 비교해 최고가 거래가 늘었다. 신생아특례대출 등 저리대출을 활용한 거래 영향으로 한동안 거래가 주춤했던 단지에서 거래소식과 함께 최고가를 경신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3월 대비 4월 최고가 거래가 많이 증가한 지역은 △성북구(3월 4건→4월 12건, 300%) △중랑구 (3월 6건→4월 10건, 167%) △영등포구(3월 10건→4월 14건, 140%) △노원구(3월 6건→4월 8건, 133%) 순으로 나타났다. 개별 최고가 단지를 살펴보면 성북구 정릉동 청구 아파트 전용면적 83㎡가 2019년 10월 3억2500만원에 거래된 이후 지난달 5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 기록을 썼다. 소단지로 매물이나 거래가 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