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생명을 잇는 따뜻한 관심 – 자살예방은 우리의 몫입니다
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2024년 대한민국 자살자는 14,439명(인구10만명당 23.6명)이며 하루평균 39.5명이다. 성별자살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2배 높으며 특히 청소년 자살률이(인구10만명당 27.9명) 매우 높다. 이는 OECD 국가중 최고 수준에 머물러 있고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심리적 고통 끝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 그 중 다수는 충동적이거나 일시적인 감정에 휘둘린 결과라는 조사의 내용을 토대로 볼 때 적절한 시기에 따뜻한 관심과 도움이 있었다면, 그들을 지킬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괜찮아요”라는 말 한마디에, “내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이 있다”는 믿음에, 다시 삶을 선택한 사람들이 있다.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조용히 커져가는 SOS 신호이기도 하다. 정신적 고통은 겉으로 보이지 않기에 더더욱 파악하기 어렵고 사람들은 "힘들다"고 말하기보다는, 자신의 책임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어 우리 모두가 누군가의 작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감수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평소와 다른 말투, 잦은 무기력, 지나친 자기비하… 그 어떤 것도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자살에 대한 낙인과 편견을 걷어내는 것도 중요한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