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제도 개편 없이는 3000만 관광객 시대 불가능” 공급 뒤처진 숙박 인프라
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한국의 숙박 인프라가 급증하는 관광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숙박난이 심화되고 있다. 호텔과 게스트하우스는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합법적 숙박공유 제도는 10년째 제자리걸음이다. 그 사이 불법 숙소가 합법 숙소의 빈자리를 채우며 시장의 혼란을 키우고 있다. 관광객 급증… “방이 없다”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래 관광객은 1637만 명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올해는 2000만 명 돌파가 유력하며, 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3000만 명 유치를 목표로 내걸었다. 하지만 숙박시설 확충 속도는 더디다. 최근 5년간 전국 관광숙박시설 객실 수는 평균 7% 증가에 그쳤으며, 서울은 2.9%, 제주는 6% 증가에 머물렀다. 내륙 지역은 오히려 감소세다. 지방의 한 호텔 운영자는 “예약 문의가 계속되지만 방이 없다”며 “성수기엔 두 달 전부터 예약이 마감된다”고 토로했다. 공유숙박 제도, 10년째 ‘정체’… 불법만 늘었다2014년 도입된 공유숙박 제도(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는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내국인 이용이 불가능하다. 서울과 부산 일부 지역에서만 시범사업으로 허용됐고, 전국 확대는 이뤄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