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고순희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신도시 등의 광역교통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을마련했다고 밝혔다.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광역교통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광역교통개선대책*(이하 개선대책) 제도를 도입('97년)하여 지구별 개선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나, 사업 지연 등으로 입주시기와 광역교통시설 확충시기 간 차이가 발생하는 등 교통불편이 여전한 상황이다.
특히, 주요 철도, 도로가 개통되기 이전 입주 초 ‧ 중반 시기와 광역교통수요가 집중되는 출 ‧ 퇴근 시간대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일부 지구는 개선대책이 완료된 이후에도 교통난이 지속되고 있다.
개선대책 사업 지연으로 인한 교통불편 완화를 위해 ‘특별대책지구’ 지정 제도를 도입('20.9)했으나 아직 성과가 미흡하며,광역교통축 기반의 종합적인 교통대책 마련을 위해 ‘ 광역교통축 지정’ 제도도 신설('22.6)했으나 계획 수립에 1년 이상 소요('23~)될 예정이다.
이에, 대광위는 광역교통 불편 완화를 위해 개선대책이 수립된 128개 모든 지구에 대하여 입주현황 및 개선대책 이행현황, 교통서비스 현황, 지자체 의견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128개 중 91개 지구의 개선대책이 진행 중(37개 지구 완료)이며, 특별대책지구 지정요건에 해당하는 지구는 39개 지구이다.
수도권은 대부분 교통축의 첨두시 혼잡도(LOS)가 E~F 수준이며 첨두시광역버스 혼잡률은 평균 116% 수준(130% 이상도 20곳)으로 혼잡하고, 지방권은 승용차 대비 대중교통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자체의 경우, 철도 연장 및 역사 신설, 도로·IC 개선(확장‧신설‧입체화) 등주로 시설 확충 중심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지구별 보완대책 마련을 위한 추진체계도 새롭게 구축한다.
대광위, 지자체, 사업시행자(LH 등), 교통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권역별(수도권‧지방권) 협의체를 운영(10월 3주~)하여 광역교통개선 수요를 파악하고 보완대책 추진방향 등을 논의한다.
권역별 협의체와 별도로 지구별 T/F(실무협의체)를 운영하여 관계기관 회의, 현장점검, 주민간담회 등을 통해 지구별 대책의 세부내용을 마련한다.
아울러, 대광위 내 T/F를 운영(10월~)하여 권역별 협의체와 지구별 T/F를지원하고 지구별 보완대책 마련 업무 등을 전담한다.
집중 관리지구별 교통 보완대책은 화성동탄2, 수원호매실 지구에 대한 특별대책 발표(10월)를 시작으로 권역별 협의체 등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마련하여 순차적으로 발표(~'23년)할 계획이다.
대광위 강희업 상임위원은“도로·철도 등 시설은 확충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여 이번에는 주민들의 출퇴근 불편을 단시간 내에 완화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라면서, “이와 함께, 도로·철도 등 중장기 시설사업도 추가 발굴하여 추진하는 등많은 국민들이 여유로운 일상과 쾌적한 출퇴근 시간을 누릴 수 있도록신도시 등의 교통문제 개선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