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가오는 6G 시대에 수십억 명의 소비자와 기업이 혜택 보려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병목'을 피하기 위한 정부의 단기적 결정 필요
런던 , 2025년 11월 21일 -- 차세대 6G 네트워크가 폭증하는 데이터 수요와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첨단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양보다 최대 3배 더 많은 중대역 주파수가 필요할 것이라는 새로운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 세계 모바일 생태계를 대표하는 GSMA는 새로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GSMA가 발간한 비전 2040: 모바일 연결의 미래를 위한 스펙트럼(Vision 2040: Spectrum for the Future of Mobile Connectivity)' 보고서는 다가오는 '6G' 시대를 위한 주파수 수요를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이 보고서는 2035년부터 2040년까지 수요가 가장 높은 도시 지역에서 모바일 네트워크 용량 기준을 충족하려면 전 세계적으로 국가당 평균 2~3GHz의 중대역 주파수가 필요하며, 수요가 더 높은 국가에서는 2.5~4GHz가 필요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는 2030년부터 본격화할 6G 상용화를 앞두고 규제 당국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는 각국 정부가 2년 뒤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이 주최하는 WRC-27(세계전파통신회의,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2027)을 앞두고 향후 이동통신용 주파수 대역을 협의하는 상황에서 특히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보고서는 각국이 지금부터 6G용 주파수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2030년대에 속도 저하, 혼잡 증가, 경제적 기회 상실의 위험을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정부가 조기에 주파수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소비자는 더 낮은 수준의 연결성을 경험하고, 기업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국가 디지털 경제는 6G로의 글로벌 전환 과정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존 지우스티(John Giusti) GSMA의 최고규제책임자는 "이번 연구는 6G 시대에 현재 사용 가능한 것보다 세 배 더 많은 중대역 주파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이러한 주파수 요건을 충족할 경우 강력하고 지속 가능한 연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디지털 분야 목표를 실현하고, 경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보고서가 각국 정부가 향후 10년 동안 자국민의 연결성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데 있어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가 2040년까지 예측한 내용을 다음과 같다:
- 2040년까지 6G 연결은 전 세계 모바일 연결의 절반가량인 50억 건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 4G와 5G 역시 필수적으로 남아, 4G 연결 약 20억 건과 5G 연결 약 30억 건이 여전히 사용 중일 것으로 예측
- 글로벌 모바일 트래픽은 2040년까지 월 최대 3900엑사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
- 통신 혼잡을 피하기 위해 2035년에서 204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평균 2~3GHz의 중대역 주파수가 필요하며, 2030년까지는 2GHz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