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며 금융당국이 마련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도 답보 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매수자인 저축은행업계에서 수익성이 좋은 PF 사업장을 매물로 내놔야 경·공매가 활성화한다고 압박한다. 반면 저축은행업계에서는 부동산 경기 회복여부가 원활한 매각을 결정한다고 반박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금융당국이 내놓은 ‘PF 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에 등록된 384개 사업장 중 177개가 입찰 일정을 잡지 못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중 대리금융기관으로 등재된 업권은 저축은행이 121개로 가장 많았다. 새마을금고 92개, 증권사 76개, 상호금융 61개 순으로 뒤를 이었다. 대리금융기관은 PF 사업장의 대주단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통상 가장 많은 금액을 대출해준 기관이 맡는다.
금융당국은 PF 사업장 매매 활성화와 사업 추진 정상화를 목표로 플랫폼에 정보 공개 대상 사업장을 매월 업데이트하고 있다. 그러나 이달까지도 부실 정리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사업장 정보·내역을 공개해도 마땅한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다 유찰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PF사업장 경·공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저축은행업계가 추가로 매물을 시장에 풀어야 한다고 본다. 저축은행업계가 부동산 경기 회복을 기대하며 양질의 매물을 아직 내놓고 있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현재까지는 PF 사업장의 ‘유의’ ‘부실 우려’ 비중이 높고 사업성이 낮아 정리·재구조화 속도가 더디다.
매수자가 나타나더라도 사업장 매물의 매각가를 두고 매도자인 저축은행업계와 매수자인 건설업계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의 부실 PF 정리 기조 하에 저축은행업계도 기존 감정평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입찰을 진행하고 있지만 건설업계는 부동산 시장 불황이 계속된다는 점에서 매물로 나온 사업장 가격이 높다고 보는 것이다.
저축은행업권은 “부동산 업황 부진이 계속돼 매물을 내놓아도 시장에서 흡수하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PF 정리) 정책 시그널이 강하다 보니 추가적인 가격 하락을 기대하고 매수하지 않는 심리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는 저축은행중앙회와 1조원 이상 규모의 저축은행 PF대출 정상화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애초 목표로 했던 1분기 내 50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은 2000억원 수준에 그쳤다. 다만 올해 2분기 내 이뤄질 예정인 4차 펀드는 5000억원 규모 이상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