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박미쉘 기자 |
️♀️ 스캠(Scam)이란?
**스캠(Scam)**은 누군가를 속여서 금전이나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사기 행위를 말합니다.
예전에는 전화 한 통이었지만, 이제는 AI, 이메일, 가짜 사이트, 심지어 목소리까지 복제합니다.
요즘 사기꾼들은 ‘기술력’으로 무장했고, ‘심리전’까지 합니다.
즉, 속이려는 마음만 있으면 당신의 부모님, 조부모님, 친구도 타깃이 될 수 있어요.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스캠의 주요 유형
-
보이스피싱 (Voice Phishing)
수사기관, 은행, 정부를 사칭해 돈을 송금하게 만듭니다.
“당신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습니다. 지금 안 보내면 체포됩니다.” -
피싱 이메일/문자 (Phishing)
가짜 링크로 유도해 로그인 정보를 탈취하거나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합니다.
“귀하의 계정에서 이상 거래가 감지되었습니다. 확인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
원격 제어 사기 (Remote Access Scam)
고객센터를 가장해 컴퓨터에 접속해 은행 계좌를 탈취합니다.
“설치만 해주시면 제가 문제를 해결해드릴게요~” -
AI 음성 사기 (AI Voice Scam)
자녀나 손자의 목소리를 AI로 합성해 급한 상황을 꾸며 송금을 유도합니다.
“할머니... 나야, 지금 큰일 났어...” -
로맨스 스캠 (Romance Scam)
온라인 연애 감정을 이용해 돈을 요구합니다.
“당신을 사랑해요… 그런데 수술비가 필요해요.” -
가짜 거래/쇼핑몰 사기
존재하지 않는 물건을 파는 사이트나 중고 물품 거래 사기.
계약서, 운송장도 다 위조!
CBC Marketplace 뉴스에서 공개된 실화
캐나다의 탐사보도 프로그램 CBC Marketplace는
세계적인 스캠 헌터 3명과 함께 보이스피싱 조직을 추적합니다.
등장하는 사기 헌터들:
-
Jim Browning: 사기 콜센터를 해킹해 내부 화면과 통화 내용 확보
-
Kitboga: 다양한 캐릭터로 피해자를 가장해 사기범을 속이고 시간 낭비 유도
-
Pleasant Green: 사기범에게 ‘다른 삶의 길’이 있음을 설득하려는 사회적 접근
이 뉴스에서 드러난 스캠 사례들
️ 해킹으로 사기 콜센터 내부 생중계
Jim은 사기 콜센터의 컴퓨터 화면, 피해자 은행 로그인 상황, 금전 송금 시도까지 실시간으로 해킹해 추적합니다.
AI 목소리로 손자 행세한 사기범
할머니는 손자의 목소리를 듣고 은행에 송금을 하려다,
기지를 발휘한 은행 직원 덕분에 겨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Best Buy, PayPal, 중고거래 사칭
“구독이 자동 결제됩니다.”
“당신의 계정에 보안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런 가짜 알림 이메일로 유도 → 원격 접속 → 돈 탈취.
가짜 계약서로 송금 유도
실제 기업의 이름과 로고를 도용해 가짜 농기계 거래를 유도하고
‘계약서’와 ‘입금 계좌’를 보내는 전형적인 중고 거래 사기도 등장합니다.
이 영상이 중요한 이유
-
사기범의 실제 목소리, 행동, 해킹된 화면까지 모두 리얼하게 담겨 있습니다.
-
실제 피해자의 반응과 구조 과정이 공개되어 경각심을 높입니다.
-
사기 수법이 얼마나 정교하고 기술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핵심 메시지
“사기는 모르면 당하고, 알면 막을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은 단순한 충격 콘텐츠가 아닙니다.
우리가 사기 수법을 배우고, 가족과 주변 사람들을 지킬 수 있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특히 부모님, 조부모님과 꼭 함께 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