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경남 산청·경북 의주 등 전국 4개의 중대형 산불이 진행 중인 가운데 정부가 피해 확산을 막고 신속한 복구를 위해 범부처적 조치에 나섰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3일 현재 전국에 동시다발적인 산불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지난 22일 오후 6시부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특히 사흘째 산불이 계속되는 경남 산청군엔 ‘산불 3단계 대응’이 발령됐는데, 23일 오전 8시 기준 진화율은 20%로 진화헬기 33대, 진화인력 1351명, 진화차량 217대가 투입됐고 산불 3단계는 피해 규모가 축구장 140여 개의 넓이인 100ha(헥타르·1헥타르는 1만㎡) 이상일 때 발령되고 산청군에선 산불을 끄던 진화대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치는 등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마을 주민 855명이 산불을 피해 대피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10시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 주재로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선 산불 진행과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범정부적 조치를 논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산림청은 오전부터 산불 진화 헬기를 집중 투입해 산불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소방청과 군부대는 민가 주변으로 산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진화 인력을 배치해 방어선을 구축했다. 지자체는 산불 우려 지역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요양병원과 민가 등 사전 주민대피를 선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또 각 부처는 산불 영향 구간의 전기·통신시설 피해예방과 도로 차단 및 철도 열차 운행 조정 등 안전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산림청은 “매년 봄·가을철을 산불조심기간(2∼5월, 11∼12월경)으로 정하고, 산불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산불은 대부분 사람의 사소한 부주의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산행할 때는 산불을 조심해 달라”고 당부하고 반드시 허용된 구역 내에서만 취사(음식을 만드는 일)나 야영(야외에 천막을 쳐 놓고 하는 생활)을 해야 하며, 산에 갈 땐 불을 붙일 수 있는 물품을 소지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