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울릉군 일부 지역의 만성적인 주차난 해소를 위해서는 청정 울릉의 현실에 부합하는 맞춤형 주차정책 수립 및 대대적인 기반 확충 노력, 그리고 관련한 주차문화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울릉군의회의 의원 3명(홍성근, 정인식, 최병호 의원)이 공동 발의한 '청정 울릉형 주차환경조성 기초연구'의 수립과 관련한 최종보고회가 16일 울릉군의회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울릉군의회에 따르면, 2024년 연말 기준 울릉군의 등록차량은 6,850대, 주차면수는 4,573면, 주차장 확보율은 66.7%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만성적인 주차난 환경에 대한 울릉군 이장협의회 회원을 통한 의견 수렴을 개진한 결과 100%가 현재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울릉군의 주차환경은 대부분의 주차 공간이 협소하고 경사도가 심해서 주차할 수 있는 여건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책 의견으로는 사회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울릉군에 대한 전반적 주차정책 수립의 시급성, 겅영주차장용 타워 확보, 빈집 활용, 유휴지 개발 등의 거시적 주차정책 수립 추진, 청정 울릉형 교통행정의 정책 개발 및 지속적 수행등이 제시됐다.
이번 과업의 대표 발의자인 홍성근 의원은 " 기초연구 과제에서 거론된 제반 사안을 중심으로, 지난해 9월 20일 개정된 주차정법 등에 그넉한 울릉군의 주차장 관련 조례의 제.개정을 신속히 검토 및 추진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관련한 "실증적 실태조사 등 치밀한 현안 파악 및 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집행부와 협의를 통한 국비 등을 확보 방안을 적극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