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 ajunews
2일 부동산 리서치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전국 아파트 거래는 2만9991건으로 전월(4만3337건)보다 1만3346건(30.79%) 급감했다. 서울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같은 해 9월 3049건으로 전월(6298건)보다 반토막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작년 한 해 가장 많이 거래됐던 7월 8874건의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이다.
지난해 상반기 가파르게 치솟던 집값이 하반기 들어 멈춰섰다. 집값이 가파르게 오른 데 따른 피로감에 더해 핵심 요인은 '돈줄'이 조여져서다. 올해는 작년보다 더 강한 규제가 기다리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작년과 같은 시장 침체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본다. 금리 인하 기조가 대출 규제를 일부 상쇄할 전망이고, 대출 규제 시행 시기가 주택 손바뀜이 많은 시기와 겹쳐서다. 수도권의 경우 입주 물량이 전반적으로 쪼그라든다는 점도 대출 규제를 어느 정도 무마할 것이란 전망이다.
부동산은 대출 의존도가 높은 자산이라 대출 금리, 대출 한도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때문에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실수요자들은 우려가 큰 상황이다.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는 직장인 40대 차모씨는 "최근 몇 년 새 대출 규제가 계속 강화되다 보니 자금 계획이 계속 틀어지고 있다"며 "올해 내 집 마련이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니겠느냐"고 토로했다.
국토부 집계 기준으로도 지난해 11월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개월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773건으로 전월(4000건)보다 5.7% 줄었다. 지난해 7월(9518건)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다. 또한 거래량은 같은해 4월(4840건)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거래가 갑자기 쪼그라든 것은 대출 규제가 강화해서다. 지난 9월 정부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를 시행했다. 원래 방안은 가산금리 0.75%포인트를 더해 시행되는 것이었지만 이를 1.2%포인트로 확대해 적용했다. 해당 규제가 시행되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금액 자체가 쪼그라들었다.
예컨대 연봉 1억원의 직장인이 변동금리 연 4%, 만기 40년의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식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스트레스 DSR 1단계에선 0.38%포인트가 적용돼 7억5400만원을 대출받을 수 있었지만, 1.2%포인트를 적용하면 대출한도는 6억7200만원으로 기존보다 8200만원이 줄어든다.
올해도 돈줄을 조이는 정책이 이어질 전망이다. 오는 7월부터는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행될 예정이다. 가산금리 1.5%포인트를 더하는 데다 은행권은 물론 2금융권의 주담대, 신용대출 등을 모두 포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