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조선시대 왕·왕비 무덤 갈수록 작아진 이유 밝혀"

  • 등록 2023.02.21 10:34:41
크게보기

 

 

문화재청이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이 시대에 따라 주변 석물에 따라 달라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문화재청 지난 20일 궁능유적본부가 지난해 3~11월 조선왕릉 40개소 61기 봉분제도와 능침 관련 산릉의궤, 조선왕조실록 등 고문헌 분석과 현장조사를 한 결과, 봉분 규모가 시대 흐름에 따라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궁능유적본부가 21일 발간한 보고서 '조선왕릉 봉분 및 능침지반 연구'에 따르면 조선 초기 왕릉의 지하 현궁은 대형석재로 넓은 석실을 만들었다. 이 때문에 당시 봉분 지름도 32∼35자(약 9.86m~10.78m) 사이로 컸다.

15세기 후반 이후로는 현궁을 대형석재 대신 회격(석회, 가는 모래, 황토로 만든 관 또는 곽을 놓는 자리)으로 조성하기 시작해 점차 봉분 지름이 줄었다.

17세기 후반부터는 합장릉을 제외한 단릉, 쌍릉, 삼연릉의 경우 봉분 좌우지름과 봉분 사이 간격을 조절하면서 봉분 지름이 25자(약 7.7m)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ssociate_pic

조선왕릉은 현재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관리돼 오면서 봉분 주위 석물에 따른 봉분 지름의 변화도 확인됐다.

봉분 하단을 병풍처럼 둘러주는 병풍사대석을 갖춘 왕릉은 비교적 조성 당시 봉분제도에 부합하나 봉분높이가 높아졌다. 난간석만 갖춘 왕릉은 봉분 지름은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졌다.

봉분 둘레와 지름을 지탱하기 위해 둘러싸는 위요석물이 없는 왕릉의 경우는 봉분 하부지름은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후대에 추존되거나 왕실에서 입지를 다지지 못한 왕과 왕후의 무덤은 조선시대에서부터 관리가 소홀했다는 흥미로운 사실도 확인됐다.

능침지반의 경우 조선 초기에는 봉분 사방으로 미세한 경사면을 조성하고 곡장(무덤 뒤에 둘러쌓은 나지막한 담)주변으로 배수로·배수구·배수홈 등을 설치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후면에서 전면으로, 초계의 중심에서 양끝이 낮아지도록 경사면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점점 발달된 배수체계를 만들었다는 사실도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궁능유적본부는 봉분 크기 및 높이, 봉분 간격, 위요석물 등 시대적 변화양상에 대한 내용과 조선시대 봉분 정비사례 및 과거 발굴과 수리기록 등을 분석해 도출한 봉분의 붕괴 원인과 개선방안을 함께 담았다. 보고서는 문화재청 웹사이트에 공개됐다.

 

 

김문수 국장 moonsu44@naver.com
[저작권자ⓒ 연방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회사명: 연방타임즈 (우) 04545 서울시 중구 창경궁로 5다길 18, 3층 | 대표전화 : 02-2273-7778 (우) 42113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수로45길 48-9, 2층 | 대표전화 053-743-5700 | 팩스 : 02-6499-7210 제호 : 연방타임즈 | 등록번호 : 서울, 아 55175| 등록일 : 2021-07-30 | 발행일 : 2021-07-30 | 발행인 : 이광언 | 편집인 : 신경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원호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신경원 | 053-743-5700 | skw365@naver.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연방타임즈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연방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제보메일 : skw365@naver.com